본문 바로가기
초보 재테크 공부

월급쟁이가 꼭 알아야 할 주식 매매기법-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by 일잘러 조팀 2021. 12. 20.

주식투자의 성공을 결정짓는 것은 바로 매수와 매도의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from 맘마미아 월급쟁이 재태크 실천법

 

주가흐름으로 결정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기법

가장 먼저 종합주가지수(KOSPI)의 흐름을 유심히 봐야 한다 .

종합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하며, 우리나라 주가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다.

 

유가증권시장은 코스피(KOSPI) 지수로 나타내고

코스닥시장은 코스탁지수(KODAQ)로 나타내지만, 통상 종합주가지수라고 하면 코스피(KOSPI) 지수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왜 종합주가지수의 흐름을 봐야 하냐면,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개별주식 종목의 수익도 중요하지만 결국 주식시장의  전체 수익은 대부분 종합주가지수의 흐름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매매타이밍을 결정할 때 기본적으로 봐야 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주식 매매기법에서 매매타이밍을 결정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기법은 골든크로스기법과 데드크로스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골든크로스기법, 데드크로스기법

골든크로스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 오는 것을 말하는데, 가장 좋은 매수시점  이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데드크로스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오는 것을 말하는 말하는데, 세력이 떠났다는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매도하는 것이 좋다.

 

tip)

* 단기 이동평균선 : 5일, 6일 또는 10일 동안 주가의 평균가격을 계산해서 선으로 연결한 그래프로, 단기추세라고 할 수 있다.

* 중기 이동평균선 : 20일 또는 60일 동안 주가의 평균가격을 계산해서 선으로 연결한 그래프로, 중기추세라고 할 수 있네요.

* 장기 이동평균선 : 120일 또는 200일 동안 주가의 평균가격을 계산해서 선으로 연결한 그래프로, 장기추세라고 할 수 있네요.

 

하지만 강세시장에서 데드크로스는 조정이 될 확률이 높기때문에 역으로 매수시점이 될 수 있고, 약세시장에서 나타나는 골든크로스는 오히려 매도시점이 되는 경우도 있다.

약세시장에서도 반드시 '반등'이라는 것을 하게 되는데 잠시 물량의 공백이 생겨서 발행하는 일시적 반등과 하락세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상승세로 전환하는 반등이 있다. 따라서 어떤 반등인지를 잘 구분하는 게 중요한데, 통상 20일선과 60일선 이동평균선의 배열이 전환되는 경우를 주가의 흐름이 본격적으로 바뀌는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HTS에서 이동평균선 보는 법

1.골든크로스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단기 골든크로스가 발생했다.

즉 지난 20일보다 최근 5일간 투자심리가 좋아져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수시점이 될 수 있다 .

20일 이동평균선이 기울기는 주가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생명선'이라고도 부른다. 20일 이동평균선은 매우 중요하기때문에 HTS에서 다른 색깔로 굴게 바꿔주는 것이 좋다. 참고로, 중기 골든크로스는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이며, 장기 골든크로스는 60일 이동평균선이 12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기, 장기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면 매수시점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2. 데드크로스

5일 이동평균선(단기)이 20일 이동평균선(중기)을 뚫고 내려오는 단기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즉 지난 20일보다 최근 5일간 투자심리가 나빠져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도시점이 될 수 있다.  참고로,골든크로스와 동일하게 중장기 데드크로스도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을 비교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단기 데드크로스보다 매도시점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초보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S&P 500 ETF  (0) 2023.01.21
해외선물투자를 시작했다.  (1) 2022.08.05
사경인의 친절한 투자과외  (0) 2022.08.04
부동산지인  (0) 2021.12.25
부자가 되는 공부 습관  (1) 2021.12.18